분류 전체보기
-
linksStudy/임시 2021. 8. 17. 01:15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gw1988&logNo=221227551307 [Parquet]아파치 파케이란?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파케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파일포멧) 중 하나입니다. 하둡에 데이터를 저장... blog.naver.com https://databricks.com/glossary/what-is-parquet What Is Apache Parquet Learn more about the open source file format Apache Parquet, its applications in data science, and its advantages over CSV and TSV formats..
-
[Ubuntu/RaspberryPi4] 라즈베리파이 우분투에서 톰캣에 WAR파일 실행하기Backend/Ubuntu for Raspberry Pi 2021. 7. 14. 03:17
https://leirbag.tistory.com/86 [Ubuntu/RaspberryPi4] 윈도우에서 라즈베리파이용 우분투에 GUI로 원격 접속하기(Ubuntu MATE) 이 게시글은 라즈베리파이용 우분투의 쉬운 원격 접속을 위한 글입니다. x86이나 AMD64버전의 우분투는 그냥 anydesk 사용하시면 됩니다. 라즈비안 OS도 우분투도 같은 데비안계열이고 ARM기반으로 leirbag.tistory.com 위의 원격 접속을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우분투 마테로 예시가 들어와있으나, 우분투 그놈으로 하셔도 무방합니다. (필요 없는 부분은 건너뛰어도 괜찮음) 1. WAR파일을 준비합니다. https://leirbag.tistory.com/87 [IntelliJ] WAR파일 만드는 방법 1. 환경설정 Pr..
-
[IntelliJ] WAR파일 만드는 방법Backend/WAS with JavaEE 2021. 7. 14. 02:48
1. 환경설정 Project Structure- Artifacts - Web Application : Archieve - For *** war exploded를 누릅니다. 2. 이름 뒤에 붙어있는 :war를 지웁니다. 톰캣 설정의 이름과 맞춰주기 위함입니다. (tomcat의 xml설정에서 지정한 프로젝트 명과 동일하게 해야합니다.) 3. WAR 파일 추출 Build - Build Artifacts를 누릅니다. 방금 만들어준 Artifacts에 마우스를 올려주고, Build를 누릅니다. 하단에 뭔가 돌아가는게 보입니다. 4. WAR 파일 확인 프로젝트의 out - artifacts - 아까 설정해줬던 이름의 폴더에 들어가보면 이런식으로 WAR 파일이 생긴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이 파일을 톰캣한..
-
[Ubuntu/RaspberryPi4] 윈도우에서 라즈베리파이용 우분투에 GUI로 원격 접속하기(Ubuntu MATE)Backend/Ubuntu for Raspberry Pi 2021. 7. 12. 09:40
이 게시글은 라즈베리파이용 우분투의 쉬운 원격 접속을 위한 글입니다. x86이나 AMD64버전의 우분투는 그냥 anydesk 사용하시면 됩니다. 라즈비안 OS도 우분투도 같은 데비안계열이고 ARM기반으로 제작되었으니 anydesk가 돌아갈거라고 생각했는데 설치만 가능하고 실행은 안됩니다.. 팀뷰어도 마찬가지.. 이외 기타 프로그램들은 arm 지원 자체를 하지 않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를 올리는 것을 하는 사람이 별로 없는지 자료도 너무 빈약하고 해외 자료도 굉장히 추상적으로 나와 있어 문서 파편화가 되어있습니다. 한국어로 작성된 문서들 역시 이걸 제대로 다루는게 없어서, 제가 까먹을까봐 적습니다. (다들 터미널로 작업하셔서 그런 것일 수도 있습니다.) xrdp와 xorg를 사용하여 접속하는 방법입니..
-
[IntelliJ] JSP에 DAO를 활용하여 DB 연동하기 및 jQuery를 활용한 반복 구조 생성 (JavaEE8, Tomcat 9.0, mariaDB)Backend/WAS with JavaEE 2021. 6. 26. 05:02
이 게시글은 앞선 게시글들을 충분히 따라왔다는 가정하에 진행됩니다. 특히 mariaDB는 컴퓨터에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설치되지 않으신 분들은 앞선 링크를 타고 돌아가서 이번 JSP시리즈의 첫 게시글에 나와있는 설치법을 따라주시기 바랍니다. 0. 이전 게시글 https://leirbag.tistory.com/83 [IntelliJ] 연습용 JSP 페이지 추가하기(부트스트랩 활용) 0. 이전 게시글 https://leirbag.tistory.com/81 [IntelliJ] JSP 프로젝트 Tomcat 으로 실행하기 0. 이전 게시글 https://leirbag.tistory.com/80 [IntelliJ] JSP 프로젝트 생성하기 (JavaEE8, Tomcat 9.0, mariaD.. leirbag.ti..
-
[IntelliJ] 연습용 JSP 페이지 추가하기(부트스트랩 활용)Backend/WAS with JavaEE 2021. 6. 26. 03:30
0. 이전 게시글 https://leirbag.tistory.com/81 [IntelliJ] JSP 프로젝트 Tomcat 으로 실행하기 0. 이전 게시글 https://leirbag.tistory.com/80 [IntelliJ] JSP 프로젝트 생성하기 (JavaEE8, Tomcat 9.0, mariaDB) 0. 작업 환경 프로그램 이름 및 버전 출시연도 비고 설치방법 Windows10 2015 유료 · Intelli.. leirbag.tistory.com 1. 지금까지 설계한 구조 지금까지 제 게시글을 잘 따라오셨다면 현재 Action까지 만들어 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프로그램이 위와 같은 구조로 제작되어 있는데, JSP에 DB를 받아오는 구조로 개조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 전에 앞서 부..